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성탄절, 교회(크리스마스 트리) 제2부

8. 크리스마스 장작불 크리스마스에는 벽난로가 떠오릅니다. 벽난로에 장작이 지펴지는 모습이 크리스마스의 빛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고대 스칸디나비아반도(Scandinavia)에서는 동짓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큰 화로에 불을 붙이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동지까지 해가 짧아지다가 이 날로부터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여 태양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였습니다. 태양이 없는 겨울을 지내는 북극지방의 사람들에게 태양이 다시 살아난다는 것은 대단히 의미심장한 일입니다. 이것이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세상의 빛]인 예수님을 재현하는 뜻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크리스마스 벽난로에 지피는 불빛이 크리스마스의 예수님을 상징하는 것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9. 크리스마스 카드는 사랑과 우정의 인사입니다...

정부지원정책 2023. 11. 26. 21:32
성탄절, 교회 (크리스마스 트리) 제1부

1. 고대의 크리스마스트리 예수님이 태어나시기 전에, 크리스마스가 있기 전의 그 시절의 고대 원시 민족들은 전나무에 특별한 생명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서 전나무로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것을 즐겨하였다고 합니다. 그러한 풍속이 이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그리스도를 위해 이러한 장식을 계속하면서 지금으로 크리스마스트리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헨리 벤타익이 쓴 [크리스마스트리 이야기]에서 보면 크리스마스 트리에 대한 일화가 있습니다. 고대 북유럽인들이 상수리나무 밑에서 한 왕자를 제물로 하여 제사를 지내려고 하였는데, 영국 선교사 윈프리드가 그것을 보고 그들에게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신 예수님의 사랑과 기적을 들려주었습니다. 그리고는 그들에게 숲 속에서 사람을 희생물로 바치는 의식을 거행하지 말고 그곳에 있는 작..

카테고리 없음 2023. 11. 26. 13:02
크리스마스(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부할절 날짜의 차이(제2부)

1. 그레고리력의 개발 배경 율리우스력이 만들어지고 1500년이 지난 1582년도 실제로 태양이 춘분점에 도달했지만 당시 사용하던 율리우스력에 의하면 춘분점이 3월 11일이었다. 이것은 부활절 날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인 로마 가톨릭교회는 달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545년부터 1563년까지 진행된 트리엔트 공의회(Council of Trent)에서 교황 바울 3세(Pope Paul III)에게 역법을 개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수학자인 릴리우스(A. Lilius)가 초안을 연구하고 후에 클라비우스(C. Clavius)가 달력의 개정 방식을 정하게 된다. 드디어 1582년 10월 4일 당시 교황 그레고리 13세는 1582년 10월 4일 목요일의 다음 날을 10월 15일 ..

정부지원정책 2023. 11. 26. 09:14
크리스마스(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부할절 날짜의 차이(제1부)

1. 율리우스력이란 무엇인가 크리스마스에 대하여 논하던 중 자연히 율리우스력이 무엇인지 그레고리력이 무엇인지 언급이 있어 추가적으로 언급하고자 하오니 끝까지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기원전(BC) 46년 이전 당시의 로마력(1년이 13개월)은 매우 불완전한 것이었다. 때마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집트를 원정했을 때, 그곳의 간편한 역법을 알고 그것을 규범으로 하여 BC 45년 새로운 로마력을 개정하였다. 이것이 율리우스력이다. 이것은 1년을 평년 365일로 하고, 4년에 1일의 윤일(閏日)을 2월 28일 뒤에 넣는 것이다. 즉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채택한 달력은 태양력을 기준으로 1년을 12개월로 하고 2월을 제외한 달은 모두 30일 또는 31일로 정함으로써 이전에 있던 번거로움을 한꺼번에 해소하였다. ..

정부지원정책 2023. 11. 23. 21:36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03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